속도에 따른 병목과 현재 통신 서비스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알아보았다.
평균 모바일 무제한 기준 스트리밍에 60G를
다운로드에 200GB정도 사용한다.
이에 음성은 2MBPS
음악은 4MBPS
영상은 8MBPS
토렌트는 100MBPS정도는 있어야 쾌적하다.
참고로 기가인터넷은 기존 100Mbps 인터넷보다 10배 빠른 1Gbps 속도를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다.
영화 한편 (4GB 기준) 또는 음악 1000곡(MP3 1곡 4MB 기준)을 35초만에 다운로드 가능한 성능을 제공한다.
하지만, 이 속도로는 하루 13분밖에 못쓴다.
그러나 이는 저장 장치 처리장치 중간에 연결된 기기 모두가 제대로 되어있어야 하며
하나가 최저속도라면 모두가 동기 된다. 참고하려고 만든 글이다 정확하지않거나 정리안되어있다 오해마시길
다이얼업 모뎀 Circuit-Switched Data
Do 33.6kbps~56kbps
팩스
01412-분당 3원/ 최고 월 4천원 KT POWWOW KORNET D/U
PPP접속자가 줄어든 2011년부터 가입이 중단
Circuit-Switched Data GPRS
56-114kbps
Circuit-Switched Data EDGE
236.8 kbit/s
1XRTT 모뎀처럼 동시 통신이 불가 (1xRTT:7)
144kbit/s
EV-DO (eHRPD:13)
2.4Mbps
EV-DO Rev.A 모뎀처럼 동시 통신이 불가 (EVDO rev.A:6)
다운 3.1Mbps
업 1.8Mbps
EV-DO Rev.B 모뎀처럼 동시 통신이 불가
다운 9.3Mbps
업 5.4Mbps
UMTS (UMTS:3)
Do 384kbps
MMS (서비스 종료 WAP WIPI WINC)
HSPA+ (HSPAP:15)
DC-HSDPA Dual Cell
28Mbps-42.2Mbps
HSDPA (HSDPA:9)
Do 13.98 Mbit/s
HSUPA (HSPA:11)
Up 5.760 Mbit/s
WiBro WAVE 2 (10 MHz 대역폭을 사용 40Mbps를 지원)
실제 평균 전송 속도는 10Mbps-18Mbps (이론상 최대 하향 128Mbps, 상향 56Mbps)
WiMAX 2(WiMAX Release 2.0)
최대 전송 속도는 TDD 20MHz 기준 다운로드 220Mbps, 업로드 140Mbps
기존 WiBro 단말기와 호환성
LTE 안심요금제 (데이터 소진 후 속도를 뜻함 참조 3G의 경우 연결된 기기 수에 따라 품질 조정)
400kbps(=최대 50kB/s)
LTE Cat.3
U 50 Mbps
D 100 Mbps
LTE Cat.4 (ex. LTE-2CA Cat.4)
U 50 Mbps
D 150 Mbps
LTE Cat.4의 최대 다운로드 속도인 150 Mbps는 LTE-A
Carrier Aggregation 주파수 집성을 통한 업로드 속도 극복
카테고리 이전까지 유플러스 업로드 무제한 시행한적 있음
LTE Cat.6 (ex. LTE-2CA Cat.6)
U 50 Mbps
D 150 Mbps
Carrier Aggregation 주파수 집성을 통한 업로드 속도 극복
LTE Cat.9
U 50 Mbps
D 450 Mbps
Carrier Aggregation 주파수 집성을 통한 업로드 속도 극복
LTE Cat.13 (ex. LTE-4CA Cat.16·13 LTE-5CA Cat.16·13)
U 150 Mbps
D 390 Mbps
Carrier Aggregation 주파수 집성을 통한 업로드 속도 극복
xDSL
하나로통신(현 SK브로드밴드)이 최대 8Mbps KT메가패스
보장 최저 속도 2Mbps
지금은 100Mbps 광랜의 백본을 인근 국사에 적용하여 ADSL 모뎀이나 VDSL 모뎀만으로도 서비스하는 경우
무료 교체중 국내 2017 인터넷 서비중 최저 속도
비대칭 회선 D 50M U 2M
기가와이어 2.0(GIGA Wire 2.0) G.fast 기술기준 기반 G.hn 기술은 TDD 방식(상하향 같은 주파수 사용)을 사용하기 때문에 Crosstalk은 근단누화(NEXT)와 원단누화(FEXT)가 모두 발생합니다.(상하향 신호 주파수 대역을 다르게 사용하는 VDSL은 원단누화(FEXT)만 발생)
100Mbps인 VDSL2의 경우 실제 평균 속도는 40~70 Mbps 정도 (KT)
역시 최대 속도가 100 Mbps인 광랜과 FTTH의 경우도 40~80 Mbps (KT, SK Broadband, LG U+ 모두)
HFC망 기반으로 한 인터넷 서비스 DOCSIS(닥시스)2.0과 3.0 DOCSIS(닥시스) 3.1
헬로비전 현대 티브로드
D 100M U 10M
D 900M U 150M
지연속도 지터 손실 높음 RF특성상 잡음이 민감하여 서비스 이용에 상당한 차질이 발생(주요 원인은 도시청과 수신설비(동축케이블, 서브탭, TAPOFF) 시공 불량, 그외 전자파 등의 방해)
비대칭 회선
CJ RF 오버레이로 극복
FTTx
D 50M U 50M 대칭 서비스
상품 종류로는 50M 100M 200M 500M 1G까지 서비스
2-10Gbps부터 광모듈 광랜카드 필요 Passive Optical Network 의 약자이며, 반대되는 용어는 Active Optical Network (AON) 이다. Passive 는 보통 '수동소자'라고 부르며 전원이 없이도 동작하는 소자를 의미하고, 반대로 active 는 '능동소자'라고 부르며 전원을 공급해줘야 동작하는 소자를 의미
EPON 은 Ethernet PON 의 약어이며, 이더넷의 호환성을 고려하여 설계된 방식이다. 최대 1Gbps 의 성능을 제공한다. EPON 은 표준이 딱히 정해진 것도 정해지지 않은 것도 아닌 묘한 상태인데, Ethernet in the first mile 이란 이름으로 IEEE 802.3ah 표준의 일부로 언급된다. KT에서 기가 인터넷을 신청할 경우 EPON 을 사용한 FTTH 방식으로 제공된다. LG U+ 의 기가 인터넷도 EPON 을 사용한 FTTC 방식으로 제공된다. 참고로, EPON 은 그 후속기술로 10G-EPON
GPON 은 Gigabit-capable PON 의 약어 최대 Down 2.4Gbps, Up 1.2Gbps까지 속도가 나온다. 한국에서는 SK 브로드밴드에서 GPON 을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GPON 의 차세대 기술은 XG-PON (ITU-T G.987 표준) 이란 이름을 사용한다.
WDM-PON 이라는 것도 있는데, 파장을 구분하여 가입자를 구분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WDM-PON 광모듈이 아주 고가여서 시장에서 외면받았다. 그래도, 장거리 전송에 강점은 있기에 전화국과 전화국을 연결하는 용도 정도
UTP(LAN)
Cat 5 U/D 100M
Cat 5e~6 U/D 1G
2페어즈 랜 기가 인터넷(2pairs LAN GiGA Internet)
포트 (데이터 전송 속도)
USB 1.1 12M
USB 2.0 280(480)M
USB 3.0 3.9(5)G
USB 3.1 10G
E-IDE 8.3MB/s
33MB/s Ultra ATA/33
66MB/s Ultra ATA/66
80(100)MB/s Ultra ATA/100
PATA는 133MB/s까지, SATA는 150MB/s(8b/10b 인코딩을 사용하여 10비트로 1바이트를 표현함)
SATA Revision 2.0 (SATA 3Gb/s)
SATA Revision 3.0 (SATA 6Gb/s)
내부 버스 (데이터 전송 속도)
DDR SDRAM 1600-3200 MB/s
DDR2 SDRAM 3200-8533 MB/s
DDR3 SDRAM 6400-12800 MB/s
DDR4 SDRAM 8.53-17.1G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