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2016. 1. 1. 15:08 - Reti

[컴퓨터확장] 버스 기술의 표준 (컴퓨터 포트와 슬릇 정보)

(본 글은 위키백과와 간단한 지식을 이용해 내부적 버스 규격만 즉 슬릇의 규격만 담아보았습니다.)

시스템 관리 버스(System Management Bus; SMBus 또는 SMB)

 마더보드에 있는 저속도 장치들과 통신하는데 사용하는 간단한 2선 버스이다. 주로 랩탑 컴퓨터의 충전지 하위체제(스마트 배터리 데이터 참조)와 같은 전력관리칩에 쓰이며, 그 외에 온도 센서와 리드 스위치 같은 장치들에도 사용된다.

장치는 제조업체 정보를 제공하고, 모델/부품 번호를 알리며, 서스펜드 이벤트를 위한 상태를 저장하고, 다른 유형의 오류들을 보고하며, 제어 변수들을 받고, 결과값을 반환한다. SMBus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제어하거나 접근할 수 없다.

SMBus는 1995년 인텔이 정의하였다. 이 버스는 클럭, 데이터, 명령을 전달하며 필립스의 I2C의 직렬 버스 프로토콜에 기반하고 있다. 동작 주파수 범위는 10 kHz에서 100 kHz이다. 동작전압은 I²C와는 다르지만, 두 시스템에 속하는 장치들은 종종 같은 버스에 혼용할 수 있다. SMBus는 ALERT#이라고 불리는 추가적인 옵션 신호를 갖고 있는데, 이는 예속 장치가 컨트롤러에 인터럽트 요구를 보낼 때 사용될 수 있다.

리눅스윈도 2000윈도 XP는 모두 SMBus 장치를 지원하나, 윈도 98은 지원하지 않는다.

흔히 배터리의 건강상태 사이클 전압 온도을을 불러오고 메인보드의 온도 등 다양한 온도 조도 가속도 센서 등을 관장한다.



ISA 버스(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bus)

 IBM의 PC/XT와 PC/AT를 위해 개발되었다. ISA 구조는 실제로 존재하는 규격내용으로 현재에도 고성능이 불필요한 곳에서 사용하고 있다. 현재는 PCI 버스에 의하여 대체되고 있다. 전송속도는 16 비트에서 3 Mb/s 이다. VESA 로컬 버스(VLB, VL버스)는 1992년 8월 비디오 일렉트로닉스 표준 협회(VESA)에서 책정한 로컬 버스 규격이다.

VESA 로컬 버스는 ISA 버스 밑에 MCA 단자를 추가하고 거기에 i486의 메모리 버스를 바로 연결하는 구조로 ISA 버스가 포트 맵 입출력(port-mapped I/O)과 인터럽트를 MCA 단자 부분이 메모리 맵 입출력(memory-mapped I/O)과 DMA를 담당한다. Extended 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보통 EISA라고 줄여 말한다)는 PC/AT 호환기 용에 개발한 32비트 컴퓨터 버스 방식이다. EISA는 IBM의 IBM PS/2에 탑재한 MCA에 대항할 뿐만 아니라, PC/AT 호환기 제조회사 9개 사(Gang of Nine : AST Research, 컴팩, Epson, HP, NEC, Olivetti, Tandy, WYSE, Zenith Data Systems)에 의해서 1988년 말에 제정되었다. 규격서는 유료로 배포되었지만, 규격 그 자체는 공개 도메인 되어 있다.

속도는 8Mhz로써 병렬이다. 흔히 디스크 중 플로피 계열로 알려 졌지만 이미 사라진 규격 윈도우7(까지만)이후 버전서는 USB 규격의 플로피만 받는 것처럼 VESA 로컬 버스와 EISA도 비슷한 규격이고 산업용서 아직 현역이기도하다.



VME버스(VMEbus)

 컴퓨터 버스 표준이다. 1970년대 후반에 모토로라가 68000 칩을 개발하면서 공개한 Versa 버스를 유럽 시장에서 그들의 유로카드(Eurocard)에 맞게 바꾸어 크게 성공하자 모토로라사는 이 버스를 유럽의 전자업계에 지원하게 하여 재탄생하게 되는데 이것이 VME버스(Versa Module Eurocard Bus)의 시작이 된다. 후에 여러 회사에서 이 규격에 맞는 보드를 개발하자 IEEE 위원회에서 이를 공식적으로 표준화했다. 그 뒤로 많은 산업용 제품에 채용되어 널리 사용하게 되었다. VXI 버스 아키텍처는 VME버스를 기본으로 자동화 시험을 위한 개방형 표준형 플랫폼을 말한다. VXI의 약어는 VME eXtensions for Instrumentation 로서 추가적으로 버스 라인을 결정하는데 기계적인 요구조건과 설정과 메시지에 기초한 통신, 다수 섀시 확장 등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 뿐만 아니라 타이밍과 트리거링를 위한 것이다. 2004년에 2eVME extension 규격이 추가되어 최대 160 MB/s 전송 속도를 갖게 되었다.

산업용으로써 일반 생활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PCI 버스(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Bus)

 컴퓨터 메인보드에 주변 장치를 장착하는 데 쓰이는 컴퓨터 버스의 일종이다. 이 장치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 형태로 나뉜다.

주기판 위에 바로 붙는 IC 형태 - PCI 스펙에서는 이러한 형태를 평면 장치(planar device)라고 부른다.

소켓에 꽂아 쓰는 확장 카드 형태 - 사용자 입장에서 흔히 눈에 띄는 형태이다.

PCI 버스는 오늘날 개인용 컴퓨터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버스이다. 표준적인 확장 버스 역할 분야에서는 한때 쓰였던 ISA 버스VESA 로컬 버스 등을 PCI 버스가 대체해 버렸다. 이 밖에도 다른 여러 형태의 컴퓨터에서도 PCI 버스는 쓰이고 있다. PCI 규격 문서는 버스의 물리적인 크기(선 간격 등), 전기적 특성, 버스 타이밍, 프로토콜 등 여러 가지를 규정하고 있다. 이 규격 문서는 PCI 스페셜 인터레스트 그룹(PCISIG)에서 구매할 수 있다.

카드

32 비트, 33MHz (리비전 2.0)

64 비트, 33MHz (리비전 2.0)

32 비트, 66MHz (3.3V 전용, 리비전 2.1)

64 비트, 66MHz (3.3V 전용, 리비전 2.1)

슬롯

32 비트, 5V (데스크톱 컴퓨터 메인보드에 가장 흔함)

32 비트, 3.3V (거의 쓰이지 않음)

64 비트, 5V (덜 일상화되어 있으나, 초기의 서버 메인보드에서 볼 수 있음)

64 비트, 3.3V (PCI-X가 등장하기 전의 서버 메인보드에서 가장 흔함)

133 MB/초속도를 가지며 아직 2015년 메인보드에 사용되며 캡처카드는 티비수신 100메가이하 랜카드 오디오 페러렐 시리얼 파이어와이어 확장카드들이 들어간다. 병렬타입


인피니밴드(InfiniBand)

 고성능 컴퓨팅과 기업용 데이터 센터에서 사용되는 스위치 방식의 통신 연결 방식이다. 주요 특징으로는 높은 스루풋과 낮은 레이턴시 그리고 높은 안정성과 확장성을 들 수 있다. 컴퓨팅 노드와 스토리지 장비와 같은 고성능 I/O 장비간의 연결에 사용된다. 인피니밴드의 호스트 버스 어댑터와 네트워크 스위치는 멜라녹스와 2012년 1월 Qlogic의 인피니밴드 사업부를 인수한 인텔에서 생산하고 있다. 인피니밴드는 가상 인터페이스 아키텍처(VIA)의 확대 개념이다.

점대점 직렬통신을 하는 이 포트는 고성능 광통신 서버등등에서나 쓰인다.



가속 그래픽 포트(Accelerated Graphics Port , 고급 그래픽 포트AGP)

 고속의 점대점 채널로, 그래픽 카드가 컴퓨터의 메인보드에 장착된다. 주로 3D 컴퓨터 그래픽의 가속에 도움을 준다. 2004년~2007년 동안 AGP는 기술적으로 더 발전한 PCI 익스프레스로 대체되었다.

고급사양인 512mb를 제하면 주류였던 256mb 저사양 128mb ddr2메모리의 지포스 라데온 XXXX라는 긴 넘버링의 제품들을 기억 할 것이다. 윈도우7과 PCIe가 잠식하여 XP와 달리 장수하지는 못한 슬릇이기도 하다. 배속 x8까지 있었으니..



PCI 익스프레스(PCI Express)

 2002년 PCI SIG가 책정한 입출력을 위한 직렬 구조의 인터페이스이며 인텔 주도하에 만들어졌다. 공식적인 약어로 PCIe로 표기한다. 옛 PCIPCI-X와 AGP 버스를 대체하기 위하여 개발 되었다. PCIe는 앞서 언급한 버스 표준들과 비교하여 높은 시스템 버스 대역폭, 적은 I/O 핀 수, 적은 물리적 면적, 버스 장치들에게 더 뛰어난 성능 확장성, 상세한 오류 검출 및 보고 구조(Advanced Error Reporting (AER)), 네이티브 핫-플러그 기능등 여러 장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하드웨어 I/O 가상화도 지원한다.

Per lane, in each direction:

v1.x: 250 MB/s (2.5 GT/s)

v2.x: 500 MB/s (5 GT/s)

v3.0: 985 MB/s (8 GT/s)

v4.0: 1969 MB/s (16 GT/s)

For a 16-lane slot, in each direction:

v1.x: 4 GB/s (40 GT/s)

v2.x: 8 GB/s (80 GT/s)

v3.0: 15.75 GB/s (128 GT/s)

v4.0: 31.51 GB/s (256 GT/s)

PCIe 3.0이 현재 생산되는 확장 카드를 위한 최신 버전이며 주류 개인용 컴퓨터에 사용되고 있다.

16라인이지만 1라인 짜리도 4라인 8라인도 있다.

1라인은 주로 usb3.0과 기가인터넷 카드가 들어간다. 4나 8라인은 끝이 뚫려 있으므로 16라인도 장착가능하며

그래픽외에도 사타 확장 이사타 ssd등에 이용된다. PCIe방식의 스토리지는 배우 빠르다..

하이퍼트랜스포트(HyperTransport, HT)

 2001년 4월 2일에 도입한 일종의 컴퓨터 버스로, 양방향, 직렬/병렬, 광대역, 낮은 지연시간이 특징이다. 한때 라이트닝 데이터 트랜스포트(Lightning Data Transport, LDT)로 불리기도 했다. 이 표준은 하이퍼트랜스포트 컨소시엄에 가입한 업체에게 공개된다.

서버에 주로 쓰인다.

퀵패스 인터커넥트(QuickPath Interconnect)

 QPI또는 퀵패스로도 불리며, 기존의 FSB를 대신하며 마이크로프로세서간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칩셋과의 외부 접속을 위해 인텔이 개발한 버스 프로토콜의 이름이다. 고속, 고효율적인 패킷 기반의 점대점(point-to-point) 상호 연결 버스이다. 인텔의 CPU 중 내장된 메모리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차세대 CPU에 이 기술이 쓰이며[2]네할렘 마이크로아키텍처를 사용하는 인텔 코어 i7 데스크톱 프로세서와 서버 프로세서, 그리고 아이테니엄의 투킬라 프로세서부터 사용된다.

이것은 조금 다른건데 프론트사이드 버스 외에도 백사이드 버스 주소 , 제어 버스 등의 시스템 버스가 있다. 이런 버스의 차세대 버전이다.



컴퓨팅 환경에서 PC 카드 (PCMCIA 카드)

 노트북 컴퓨터를 위해 설계된 주변 기기 인터페이스의 폼 팩터이다. PC 카드 표준 (익스프레스 카드 이후)이 PCMCIA사가 정의하고 개발하였다. 1991년에 이 두 개의 표준은 JEIDA 4.1, 곧 PCMCIA 2.0 (PC 카드)으로 병합되었다.

혹시 확장을 기대했다면 이포트가 아니길 바래야 한다. 랜카드 모뎀 하드디스크등이 사용되는데 단종 된지 오래


익스프레스카드(ExpressCard)

 PCMCIA 카드로 알려져 있는 PC 카드를 대체하는 하드웨어 표준이다. PC 카드와 마찬가지로 PCMCIA가 개발하였다. 호스트 장치는 익스프레스카드 슬롯을 통해 PCI 익스프레스와 USB 2.0 접속을 둘 다 지원한다. 각 카드는 해당 작업에 가장 적절하도록 설계되었다. 이 카드는 핫 스와핑을 지원한다. 이것은 익스프레스카드 웹사이트에서 얻을 수 있는 ITU-T 정의를 통한 오픈 표준이다. 그러나 비 PCMCIA 멤버를 위한 문서에 접근하려면 $2,500 미국 달러의 비용을 내야 한다.익스프레스 카드는 두 개의 폼 팩터를 지원한다.

익스프레스카드/34 (34 mm 길이)

익스프레스카드/54 (54 mm 길이, L자 모양)

표준 카드는 75 mm (카드버스에 비해 10.6 mm 짧다) 길고 5 mm 두껍지만 표준 폼 팩터 밖으로 빠져나온 부분까지 합치면 더 두꺼워질 수 있다. (안테나, 소켓 등) 34 mm 폼 팩터 카드는 34 mm와 54 mm 카드 슬롯에 딱 들어맞는다. 54 mm 카드는 54 mm 슬롯에만 장착할 수 있다.이 슬롯들은 파이어와이어 800 (1394B), SATA 외장 디스크 드라이브, SSD무선 랜카드TV 수신 카드, 사운드 카드, 추가 메모리 및 메모리 리더 등을 지원한다. 아수스는 최근에 이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노트북 컴퓨터에 연결할 수 있는 외장 그래픽 카드를 선보였다.

이슬릇은 내부에 하나 외부에 하나 주로 있었다. 주용도는 외부는 메모리리더나 사운드로 사용되었으나. 이젠 안으로 들어가

무선랜과 빠른 속도를 지원하기에 하드디스크 SSD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맥북이 주 스토리지로 이 슬릇을 이용

어드밴스트 마이크로컨트롤러 버스 아키텍처(Advanced Microcontroller Bus Architecture, AMBA)

 시스템 칩 (system-on-a-chip : SoC) 설계에서 사용하는 버스 아키텍처이다. 발표한 이래로 AMBA의 범위는 마이크로컨트롤러 장치를 넘어 ASIC과 SoC 분야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다.

AMBA는 ARM Ltd에서 1996년에 선보였다. 첫 번째 AMBA 버스의 이름은 Advanced System Bus (ASB)와 Advanced Peripheral Bus (APB)였다. 두 번째 버전인 AMBA 2 에서는AMBA 싱글 클럭엣지 프로토콜인 High-performance Bus (AHB)를 2003년 소개되었다. 세 번째 버전인 AMBA 3에서는 보다 향상된 performance에 도달하기 위하여 Advanced eXtensible Interface (AXI)를 포함하며 Advanced Trace Bus(ATB)를 CoreSight on-chip의 일부로 하여 디버그 및 트레이스 솔루션으로 하였다.

이러한 프로토콜들은 문서화되고 로열티 없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오늘날 32비트 프로세서에 대한 사실상의 표준이 되었다.

흔히쓰는 폰 네비 모든 임베디드 기기에 사용된다. 버스의 종류로 보는것이 맞다



병렬 ATA(Parallel ATA, PATA, 이전 이름: 고급 기술 결합/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ATA)

 개인용 컴퓨터 안에서 하드 디스크CD-ROM 드라이브와 같은 기억 장치를 연결하는 표준 인터페이스이다.SATA (시리얼 ATA)가 도입될 때까지는 40핀의 단자가 리본 케이블로 드라이브를 연결하였으며 이를 PATA(병렬 ATA) 인터페이스라고 한다. 각 케이블은 두 세 개의 단자를 갖추고 있었고, 그 가운데 하나는 컴퓨터 시스템의 남는 부분과 데이터를 주고 받는 어댑터와 장착된다. 나머지 한 두 개의 단자는 드라이브와 연결된다.

PATA 케이블은 16비트의 데이터를 한 번에 전송한다.

과거에는 PATA 리본 케이블로 40선 짜리를 이용했지만, UDMA/66 (UDMA4)이상에서는 80선짜리 케이블을 이용한다. 이 80선 중에 40선은 기존의 40선과 동일하며, 새로운 40선은 그라운드선으로, 이전의 40선과 번갈아가며 위치한다. 이 그라운드선은 신호선 끼리의 capacitive coupling을 줄여서 crosstalk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Capacitive coupling은 전송 속도가 빨라질수록 문제가 되며, UDMA4 (66MB/s)이상으로 정상적으로 동작하려면 80선 리본케이블이 필요하다. 최근의 HDD등은 보통 UDMA6를 지원하므로, 80선 케이블을 이용한다.직접 메모리 접근(直接 - 接近, Direct Memory Access, DMA)는 주변장치들(하드디스크, 그래픽 카드, 네트워크 카드, 사운드 카드 등)이 메모리에 직접 접근하여 읽거나 쓸 수 있도록 하는 기능으로서, 컴퓨터 내부의 버스가 지원하는 기능이다. 대개의 경우에 메모리의 일정 부분이 DMA에 사용될 영역으로 지정되며, DMA가 지원되면 중앙처리장치가 데이터 전송에 관여하지 않아도 되므로 컴퓨터 성능이 좋아진다.

한편, PIO는 DMA의 반대개념으로써, 장치들 사이에 전송되는 모든 데이터가 중앙처리장치를 거쳐가는 방식이다. DMA는 PIO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고안된 기능이다.

E-IDE IDE케이블로 불리며 CD롬 가는 케이블과 하드 케이블 색상을 회색과 노란색으로 구분하듯이 선 케이블 종류도 달랐다. 실질적 케이블이 상위급이나 제품이 상위라도 하위등급이 있으면 그등급으로 작동한다. 저장장치의 마지막 병렬 ISA보다 오래산 규격




USB 대용량 저장소 장치 유형(USB mass-storage device class, USB MSC)

 USB에 관련된 USB 인플리멘터스 포럼(Implementers Forum)이 규정한 컴퓨팅 통신 프로토콜이다. 이 표준은 다양한 저장매체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 표준을 지원하는 장치들을 대용량 저장소 유형(MSC) 장치라고 한다. MSC가 공식 머리글이지만, 온라인 은어로 UMS(Universal Mass Storage)라는 머리글을 사용하고 있다. 이 표준(USB MSC)에 따라 컴퓨터와 연결되는 장치들의 일부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외장형 하드 드라이브

외장형 광학 드라이브(CD / DVD 리더 및 기록 드라이브)

이동형 플래시 메모리 장치

표준 플래시 메모리 카드와 USB 연결을 이어주는 어댑터

디지털 카메라

다수의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와 이동형 미디어 플레이어

카드 리더기

이동형 게임 시스템(노키아 N-GAGE/소니 PSP)

개인 정보 단말기나 휴대용 컴퓨터

일부 최신 휴대전화 단말기 (이를테면, 소니 에릭슨 K800 ,K510, 노키아 N73, 노키아 E61)

이런 장치들은 복잡한 기능을 제공하기보다 단순히 데이터 저장소 역할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용량 저장소 장치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서 단순한 데이터 저장소를 제공함으로써, 운영 체제가 제공하는 USB 드라이버 스택 상의 USB 대용량 저장소 장치 유형에 대한 높은 수준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내부 메모리에 대한 쉬운 읽기 쓰기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이런 방식의 단점은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를테면, 디지털 카메라 제조사는 디지털 카메라가 이미지 캡처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허용하는 USB 정지 영상 장치 계열을 구현하고자 할 수도 있다. 일부 USB 디지털 카메라는 대용량 기억 장치나 정지 화면 장치 (PictBridge 또는 PTP) 중 하나로 보여지도록 전환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하지만 동시에 할 수는 없는데 그 이유는 운영 체제의 파일 시스템 계층이 독점적으로 장치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IEEE 1394, 혹은 파이어와이어(FireWire), 아이링크(i.Link)

 미국의 애플(Apple Inc.)이 제창한 개인용 컴퓨터 및 디지털 오디오디지털 비디오용 시리얼 버스 인터페이스 표준 규격이다. IEEE 1394는 데이터의 고속 전송과 등시성 실시간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한다. IEEE 1394는 낮은 단가와, 간단하고 융통성 있는 케이블 시스템 덕에 병렬 SCSI를 대체하였다.

특징은 다음과 같다.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표준: 반복적인 디지털 대 아날로그의 변환에 따라 발생하는 지속적인 신호의 감쇠를 처리

빠르고 용이한 전환 : SCSI와 달리 장치의 설치와 제거가 컴퓨터 구동 중에도 용이

사용의 편리성 : 케이블 장착만으로 플러그 앤 플레이를 통해 장치와 컴퓨터와 연결, 빠른 속도 등이다.

IEEE 1394의 규격은 파이어와이어 400과, 800이 있는데 각각 약 100/200/400Mbps, 800Mbps의 전송 속도를 지원한다. 두 규격은 모두 핫 플러깅을 지원한다.IEEE 1394의 두 형태는 6Pin(전기공급:2Pin, 데이터전송:4Pin)과 4Pin(데이터전송:4pin)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장하드 소니와 같은 기기의 카메라 캡처 캡처카드 오디오 믹서 오디오 확장등에 쓰이는중




SATA 또는 직렬 ATA(Serial ATA)

 하드 디스크 혹은 광학 드라이브와 데이터 전송을 주요 목적으로 만든 컴퓨터 버스의 한 가지이다. 흔히 사타라고 읽으며 새터세이터라고 발음하기도 한다. SATA는 예전의 ATA 표준을 계승하여, ‘병렬 ATA(PATA, Parallel ATA, 기존의 ATA)’를 대체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SATA 어댑터와 장치들은 비교적 속도가 빠른 직렬 연결을 이용하여 연결된다.SATA의 구조에서 물리 계층을 보면, 데이터 연결은 두 쌍의 한 방향의 신호 선들로 이루어진다. 이 선 위에서, SATA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VDS) 방식을 사용한다. LVDS는 병렬 ATA에 비해 더 빠른 전송을 가능케 한다. 바이트 데이터는 8B/10B 인코딩을 이용하여 인코딩되고 전송된다. 8B/10B 인코딩은 이더넷파이버 채널PCI 익스프레스 등에서 이용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병렬에서 직렬로 인코딩을 하면 효율이 80%정도 나온다. 다만, 이 인코딩 방식은 비트와 문자열 경계를 구분하는 정보를 함께 가지고 있으므로, 클럭 신호가 따로 필요 없다. 병렬 방식이 아닌 직렬 방식을 사용하면, 미래에 성능이 개선된 하드 디스크가 나오면 속도를 뒷받침할 수 있다. 또한, 고속의 병렬 인터페이스에 견주어 가격을 낮출 수 있다. 미니 SATA는 2009년 9월 21일 Serial ATA International Organization이 발표한 SATA 방식이다. 더 작은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를 요구하는노트북 등의 장치에 어울린다. 단자는 PCI 익스프레스 미니 카드 인터페이스와 모양이 비슷하지만, 전자적으로 호환된다. 그러나 데이터 신호(TX±/RX± SATA, PETn0 PETp0 PERn0 PERp0 PCI-express)는 PCI 익스프레스 호스트 컨트롤러가 아닌 SATA 호스트 컨트롤러의 연결이 필요하다. miniSATA 방식과 microSATA 방식으로 나뉜다.외장 SATA(eSATA)가 표준이 되었다. 다른 종류의 케이블과 커넥터를 사용하도록 규정하였고, 전기적 요구 사양도 외장 용도에 맞게 개정하였다: eSATAp msi 가 주로 쓰는 전원을 포함한 포트이다.초당 1.5 기가비트, 초당 3.0 기가비트, 초당 6.0 기가비트의 3개의 버전이 현재 나와있다.

m사타는 마이크로(1.8 인치 사타의 전원 T자 변형) 미니(PCIe)의 두종류가 있고 서로 호환 안되므로 주의 전자적으로는 익스프레스카드임으로 사타호환주위 주로 무선랜카드나, 추가 SSD를 장착하는데 써왔다. 커넥터 모양은 PCI Express Mini와 비슷하지만 호환되지 않는다.이사타는 호환이 사타와 됨 사타는 하위 버전 속도를 맞춤. 케이블에 따른 저하가 적은 편이라 튼튼한 케이브이 좋음. 




 SATA Express
 기존 SATA 인터페이스와 호환되기 때문에 M.2와 함께 새로운 인터페이스로 주목받고 있지만, 아직까지 상용화된 네이티브 SATA Express 기반 스토리지를 찾아볼 수 없어 대중화 속도에서는 M.2보다 불리한 위치에 있다.본체에 전원 커넥터를 직접 연결하지 않고 케이블에 전원 커넥터가 함께 있다는 점도 기존과 SATA3와 다른 부분이었다. 16Gbps속도


M.2

 NVMe 규격의 M.2가 아닌 AHCI 규격의 M.2 포트이다. 현재 M.2 SSD는 대부분 이 포트를 사용한다. M키와 B키라는 AGP 인터페이스에서 보던 키를 가진다. B키가 뚫렸으면 SATA호환 규격이고, M키가 뚫렸으면 PCIe 만 지원하지만 CPU와 버스가 직결되어 빠르다. 둘 다 뚫린 경우도 있어서 양방 다 지원하기도 한다. 키홈을 볼 때는 암, 수 둘 다 확인하여야 한다. 물론 수의 키가 다 뚫려있으면 상관없다.별도 컨트롤러 없이도 M.2 구현이 가능하다는 것은 가격면에서 유리해짐을 뜻한다

별도 컨트롤러 없이도 M.2 구현이 가능하다는 것은 가격면에서 유리해짐을 뜻한다

M.2 SSD는 mSATA보다 작은 폭과 높이로, 용도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제작이 가능해 데스크탑과 노트북등에서 폭넓게 활용이 가능하며, 이미 인텔과 삼성, 플렉스터, 샌디스크, 트랜센드 등 유수의 SSD 업체들에서 수많은 M.2 인터페이스 SSD를 출시하고 있다.


SCSI

 (스커지/스카시,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문화어: 스카지, 소형 컴퓨터 체계 대면부, 컴퓨터 체계 결합장치)는 컴퓨터에 주변기기를 연결할 때 직렬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표준을 일컫는다. 다시 말해, 컴퓨터에서 주변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직렬 표준 인터페이스로 입출력 버스를 접속하는 데에 필요한 기계적, 전기적인 요구 사항과 모든 주변 기기 장치를 중심으로 명령어 집합에 대한 규격을 말한다.

SCSI는 IBM 호환기종을 제외한 애플, 썬 마이크로시스템즈 등에 널리 쓰이고 있다. SCSI는 주변 기기의 번호만 각각 지정해 주면 자료 충돌 없이 주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페러렐 스커지 SAS라는 시리얼 스커지도 있으며 산업용이다. 가상화시 서버 운영체제나 유닉스 가상화시 가상장치로 들어가거나 가상이미지를 불러올때 가상CD DVD룸이 되어준다.

직렬포트 RS-???

 규격에는 RS-232는 PC와 음향 커플러, 모뎀 등을 접속하는 직렬 방식의 인터페이스의 하나이다. 인터페이스는 포트라고도 하여 일반적으로 직렬 포트라고 불리기도 한다.변기기의 접속 용도에는 USBIEEE1394 등과 통신 용도로는 이더넷(ethernet) 등에 그 역할이 대체되고 있다. 그러나 노이즈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먼 곳까지 신호를 전달하고, 단순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직까지도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한 케이블에 10m 정도까지.EIA-422(RS-422의 공식적인 명칭, 지금은 TIA-422로 되어 있다.)는 '평형 디지털 인터페이스 회로의 전기적 특성'을 규정하는 기술 규격이다.

이 규격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평형 전송 내지 차동신호의 채용, 단방향/무반전, 전송로의 터미네이트의 유무,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멀티 드롭 등을 규정한다. RS-485와 비교해서EIA-422는 복수 드라이버가 아닌 복수 리시버만을 허용하고 있다.EIA-485(이전에는 TIA/EIA-485 또는 RS-485)는 2 반이중 다중점 직렬 연결에 대한 OSI 모델의 물리 계층 명세이다. EIA-485 표준은 차분 신호를 정의하는데, 두 선 사이의 전압차로 데이터를 표현한다. 전압의 한쪽이 「1」레벨이면, 다른 한쪽은 「0」레벨을 나타낸다. 올바른 신호로 인식하려면 적어도 전압의 차이가 0.2V 이상 이어야 한다. 수신측은 +12V 으로부터 -7V까지의 전압이면 올바른 것이라고 인식한다.

EIA-485는 드라이버와 리시버의 전기적 특성만을 정한 것이다. 데이터 프로토콜에 대해서는 가이드라인이 존재하지 않는다. EIA-485를 사용하면 저가의 로컬 네트워크나 멀티 드롭 통신망을 구축할 수 있다. 이 규격은 고속 데이터 통신 속도를 낼 수 있는데 10m까지는 35M bit/s, 1200m 에서는 100kbit/s 이다. EIA-485는 EIA-422과 같이 트위스트 페어(twisted pair)를 이용한 평형형 전송로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먼 거리(4000 피트, 1200m 이상)까지 늘리는 것이 가능하다.

RS-232의 경우 스캐너 중 바코드 스캐너 마우스로 알려지는편 네모칸에 1010101포트가 rs-232c포트로 메인보드 내부로 들어간 com포트는 말고 유일하게 남아있는 9핀 시리얼포트로써 아날로그 산업기기의 신호를 받아온다. 계측장비에 쓰이는편

DMX512

 디지털 조명제어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표준이다.

IEEE-488

 단거리 디지털 통신 버스이다. 1960년대 후반 전자 측정 장비에 사용되었으며 지금도 사용되고 있다. IEEE-488은 HP-IB(Hewlett-Packard Interface Bus)로서 개발되었으며, 보통 GPIB (General Purpose Interface Bus)로 불린다.

메모리에 직접 접근하여 펌웨어를 입힐때 쓰이기도하여 갤럭시나 전 피쳐폰들의 메인보드에 해당 포트가 있기도 하다.



IEEE 1284

 컴퓨터와 다른 기기 간의 양방향 병렬 통신을 정의하는 표준이다.

과거 프린트에나 쓰였던 병렬포트 페러렐이다. 




USB 3.0 Type Micro-B



USB(범용 직렬 버스, 汎用直列버스 , Universal Serial Bus, 문화어: 범용직렬모선, 汎用直列母線, 일반직렬모선, 一般直列母線)

 컴퓨터와 주변 기기를 연결하는 데 쓰이는 입출력 표준 가운데 하나이다. 대표적인 버전으로는 USB 1.0, 1.1, 2.0, 3.0, 3.1 등이 있다.

USB는 다양한 기존의 직렬병렬 방식의 연결을 대체하기 위하여 만들어졌다. 키보드마우스게임패드조이스틱스캐너디지털 카메라프린터PDA저장장치 와 같은 다양한 기기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기 연결의 대부분은 표준 연결 방식을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USB는 PC를 위하여 개발되었지만 지금은 PDA나 게임콘솔 등에서도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고, USB의 전원 공급 기능을 이용하여 충전 용도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2008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약 20억 개의 USB 장치가 있다.

USB는 USB표준을 결정하는 USB Implementers Forum에서 표준을 결정한다. 2010년 3월 현재 포럼 의장은 인텔사의 제프(Jeff Ravencraft)이다. 컴퓨터 메인보드 시장에서 인텔의 I/O칩 점유율이 압도적[1][2](메릴린치의 2004년 3사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62.1%)이기 때문에 소비자 시장에서의 가장 큰 수요를 쥐고 포럼 내 영향력도 가장 큰 인텔사의 주도에 의해 만들어지고 있다.

경쟁 규격으로 언급되는 IEEE 1394가 주로 캠코더에 탑재되어 DV규격으로 주로 사용되는 반면 USB는 저가격의 다수의 기기에 채택되어 있다.

Low speed(초당 1.5 메가비트) 1.0

Full speed(초당 12 메가비트) 1.1

High-speed(초당 480 메가비트) 2.0

SuperSpeed(초당 5 기가비트) 3.0

SuperSpeedPlus(초당 10 기가비트) 3.1

플러그앤플레이 핫플러그 스왑이 가능했고 장치드라이버 설치는 자동이고 스탠다드 타입 A는 우리생활 속 깊숙이 자리매김했다.

스탠다드 타입 B는 고정된 프린트나 3.5인치 외장하드도크등에 사용되었으며 그래서인지 A는 호스트 B는 게스트 역활이었다.

B는 주로 장치나 저장소였다는 소리다. 미니 A 주로 PDA 일본계열 디카에 사용되었고 PDA서는 임베디드겸 저장소를 위해 OTG역활을 위해 AB혼용도 있었다.

또 미니 B는 DSLR 콘솔 게임기 디카 MP3 3.0이전 구형 외장하드등에 사용되었다. 미니 B는 5핀이다.

4핀 미니 B도 있지만 잘 사용되지않았다. 미니 A는 8핀이 주류였다. 본래 데이터 2가닥 전원 2가닥이지만 보조역활이 있음.

ID라든지 인식이라든지 접지, 추가전원 정도의 역활이다.

마이크로 A는 활용도가 캠코더에 잠깐쓰이다 사라졌다. 이후 마이크로 B가 스마트폰 시대를 열면서 표준으로 자리매김한다.

포트가 검은색이면 1.1 흰색 2.0 파란색 3.0이고 3.1은 청록색의 다섯게의 홈이 있다.


노키아 2핀 모토로라 삼성 20핀 엘쥐 18핀 팬텍 14핀 애플 30핀 결국 우리나라는 TTA서 24핀을 표준 이후 20핀

이후 국제규격을 따르게 된다.

스마트폰은 2.3부터 변화를 불게 된다 NFC 와 함께 시작된 OTG가 그것이다. 이후에 시장이 커지며 타입 C가 나오는데..

유에스비 버전이 3.0으로 증가 하며 전압이 900mA로 변한게 된다. 기존 2.0 서도 메인보드 트윅으로 2배속 아이폰 충전차지를 지원했으나

이젠 전 기기가 지원해준다. 이로인해 파워로 부터 추가전원이 연결되고 마이크로 B타입과 스탠다드 B이 대대적인 길이연장을 하는데.. 

이로써  USB Power Delivery라는 기술인 20V 5V전원이라는 구실이 생겼으나..

실제는 2.0은 3.1 Gen2에서 지원되며 5v 12V 20V를 100W 5A지원이라는 기능을 주지만 현재는 반정도 지원..

기존 2천원 3천원 5천원 하던 케이블은 쉴드 차폐로 인해 고가화 되어가 만원 2만원 3.1은 4만원까지..

3.0을 3.1 Gen1으로 통합하였으며 OTG도 일방향이었지만 인제 양방향 통신이 가능해졌다.

채널이 듀얼버스 2채널이기때문이다. 1.5A를 전기를 주고 2.0과 3.0의 2채널은 앞으로 디스플레이 음성 인터넷 데이터전송

심지어 전원 까지 통합할 예정이다.

업로드 다운로드를 각각 이용하다가 한번에 업로드만 다운로드만 이용하게된 Gen2는 10Gbps를 지원하게 이른다.

타입C는 무엇이냐 하면 라이트닝과 비슷하다본다. 24핀으로 전원 데이터전송 디스플레이 모든 역활을 해낸다.

기존 USB2.0이 이더넷어댑터나 OTG나 화면 캡쳐방식으로 720p해상도 이상은 어려웠다.

하지만 이젠 디지털 전송으로 4K까지 가는 것이다.

타입C는 삽입의 방향이 필요없어 당분간은 주위를 요한다. 즉 마이크로B타입을 애기하는 것이다.





선더볼트(ThunderBolt), 코드명 라이트 피크(Light Peak)

 컴퓨터와 주변 기기를 연결하는 데 쓰이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종류 중 하나이다. 선더볼트 1과 2는 미니 디스플레이포트와 같은 커넥터를 사용하고, 선더볼트 3는 USB Type-c와 같은 커넥터를 사용한다. 선더볼트는 2011년 2월 24일에 발표되었으며, 애플의 맥북 프로에 처음 장착되었다

선더볼트는 PCI 익스프레스(PCIe)와 디스플레이 포를 하나의 시리얼 통신으로 통합하고, DC 전원도 하나의 케이블로 제공한다. 여섯개까지의 주변기기가 버스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의 커넥터로 연결된다.

선더볼트는 USB와 PCI 익스프레스를 공동 개발한 인텔사와 파이어와이어를 발명하고 USB 대중화를 이뤄낸 애플이 긴밀한 기술적 협력을 통해 발명해낸 인터페이스이다. 선더볼트는 SCSISATA,USBIEEE 1394PCI 익스프레스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 등을 모두 통합해 대체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개발 진행되고 있다.선더볼트는 DP-1.1a 기기들과 호환 가능하다. DP 기기와 연결되었을 때 선더볼트 포트는 아웃풋 핀 네 가닥에서 가닥 하나당 5.4Gbit 이하의 속도로 네이티브 디스플레이포트 신호를 제공한다. 선더볼트 기기와 연결되었을 경우 가닥 하나당 데이터 전송 속도는 10 Git/s가 되고 네개의 선더볼트 가닥은 입력과 출력이 각각 10Gbit/s인 두개의 이중 케이블처럼 작동한다.디스플레이포트와 호환되는 PICe 그래픽카드나 맥북 에어처럼 온보드 비디오가 메인보드에 있는 컴퓨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썬더볼트는 초기 미니DP포트를 대체 했으며 흐드미까지 대체가능할것이로 본다. 어마무시하게 비싸다는게 흠이다.

이더넷어댑터 외장하드 등등 주변기기들이 기본 가격이 넘는다는게 함정.. 그리고 외장그래픽카드가 존재한다.

20핀 단자가 특징임. 속도는 배수로 늘어나 버전 3  40Gbps의 속도를..